**난소암(Ovarian Cancer)**은 난소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여성 생식기 암 중에서 가장 치명적인 암 중 하나입니다. 난소암은 초기 증상이 불분명하여 조기 발견이 어렵고, 진단 시 이미 진행된 경우가 많아 치료가 복잡할 수 있습니다.
1. 난소암의 종류
난소암은 발생하는 세포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1) 상피세포 난소암(Epithelial Ovarian Cancer)
가장 흔한 유형(전체의 90% 이상).
난소 표면의 상피세포에서 발생.
종류: 장액성, 점액성, 자궁내막양, 투명세포암 등.
2) 생식세포 종양(Germ Cell Tumors)
난소의 생식세포에서 발생.
비교적 젊은 여성에서 더 흔함.
종류: 기형종, 난황낭종양 등.
3) 성삭 간질 종양(Stromal Tumors)
난소의 간질 세포에서 발생.
호르몬을 분비할 수 있어 비정상적인 출혈 등 증상을 유발.
2. 난소암의 원인
난소암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다음과 같은 위험 요인이 있습니다:
유전적 요인: BRCA1, BRCA2 유전자 변이.
가족력: 가족 중 난소암 또는 유방암 환자가 있는 경우.
연령: 50세 이상에서 더 흔함.
출산 경험: 출산을 하지 않은 여성에서 위험 증가.
호르몬 요인: 배란 주기가 많은 경우(초경이 빠르거나 폐경이 늦은 경우).
비만: 체질량 지수(BMI)가 높을수록 위험 증가.
3. 난소암의 증상
난소암은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어 침묵의 암으로 불립니다. 진행된 경우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복부 팽만감: 복부가 부풀어 오르는 느낌.
복통 또는 골반통: 지속적인 통증.
소화 불량: 식욕 부진, 소화 장애.
빈뇨: 소변을 자주 보는 증상.
체중 변화: 원인 없는 체중 감소 또는 증가.
피로: 지속적인 피로감.
비정상적인 질 출혈: 폐경 후 출혈 등.
4. 난소암의 진단
난소암은 증상이 비특이적이므로 조기 진단이 어렵습니다. 다음과 같은 검사를 통해 진단합니다:
골반 검사: 난소의 크기와 모양을 확인.
초음파 검사: 복부 또는 질 초음파로 종양을 확인.
혈액 검사: 종양 표지자(CA-125) 측정.
영상 검사: CT, MRI, PET-CT로 암의 범위를 확인.
생검: 수술을 통해 조직을 채취하여 확진.
5. 난소암의 치료
난소암의 치료는 병기, 종류,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1) 수술
종양 제거술: 난소와 종양을 제거합니다.
자궁 및 양측 난소 절제술: 진행된 경우 자궁과 양측 난소를 제거합니다.
대망 절제술: 암이 퍼진 대망(복막의 지방 조직)을 제거합니다.
2) 화학요법
수술 후 남아 있을 수 있는 암세포를 제거하기 위해 시행.
카보플라틴, 파클리탁셀 등이 주로 사용됩니다.
3) 표적치료
베바시주맙(Bevacizumab)과 같은 항혈관생성 약물을 사용합니다.
PARP 억제제(올라파립, 니라파립 등)는 BRCA 변이가 있는 경우 효과적입니다.
4) 호르몬 치료
일부 난소암에서 호르몬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6. 난소암의 예후
조기 발견(1기): 5년 생존율이 90% 이상.
진행된 경우(3기 이상): 5년 생존율이 30% 미만.
재발률이 높으므로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중요합니다.
7. 난소암의 예방
정기 검진: 고위험군(가족력, 유전적 소인)은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습니다.
피임약 복용: 경구 피임약을 장기간 복용하면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출산 및 수유: 출산과 모유 수유는 난소암 위험을 감소시킵니다.
건강한 생활습관: 비만 예방, 금연, 균형 잡힌 식단.
난소암은 조기 발견이 어렵지만, 복부 팽만감, 소화 불량, 골반통 등 이상 증상이 지속될 경우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여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고위험군은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조기 발견에 힘써야 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영제는 신장을 망가뜨리나? (0) | 2025.03.16 |
---|---|
유방암 치료 방법 및 관리 (0) | 2025.03.16 |
갑상선암 치료 방법 및 관리 (0) | 2025.03.16 |
폐섬유화 치료 방법 및 관리 (0) | 2025.03.16 |
혈액암 치료 방법 및 관리 (0) | 2025.03.16 |